2차 기간 동안 나의 재무관리 커리큘럼은 연습서 3회 읽기+기출문제풀이+지한성GS 문제풀이처럼 했었다.지난 객세활용법 2문장에서 범위를 넓히는 공부를 중요시했다고 말했지만 2차의 경우 철저히 지키려고 했다.재무관리 역시 1회독은 기출만 전수로 풀었고(단원별 최신->오래된 순), 2회독은 종로의 필수문제(기출실전예제로 구성), 그리고 3회독 시 더욱 범위를 넓히기 위해 CAPM이나 자본구조이론의 실전문제와 예제를 보완해 풀었다. (기출풀을 병행하면서) 이 글에서는 단순히 무언가를 푼 것이 아니라 (what) 어떻게 재무관리연습서를 학습했는지(how)에 대한 이야기다.
두 번째 때는 자신이 푼 답안지를 모아두라고 했다.첫 시동 차성배1도 자신이 푼 답안지를 모아놓은 것 자체가 단권화 교재라고 했다.그래서 나도 바인더 3cm(사실 더 커야해.. 5cm는 구입해야 한다.)를 구입해서 전부 모아놓았다.- 참고로 나처럼 바인더로 하려면 그 답안지가 위로 넘기는지 옆으로 넘기는지 잘 확인해야 한다.
두 번째 때는 자신이 푼 답안지를 모아두라고 했다.첫 시동 차성배1도 자신이 푼 답안지를 모아놓은 것 자체가 단권화 교재라고 했다.그래서 나도 바인더 3cm(사실 더 커야해.. 5cm는 구입해야 한다.)를 구입해서 전부 모아놓았다.- 참고로 나처럼 바인더로 하려면 그 답안지가 위로 넘기는지 옆으로 넘기는지 잘 확인해야 한다.
강의는 문제를 반드시 먼저 풀고 모르는 부분만 발췌해서 들었는데, 여기서 내가 한 중요한 요령은 문제를 풀때 항상 저렇게 옆 부분을 접고 코멘트하는 공간을 열어 놓는 것이었어!!그렇게 잘못된 문제와 부딪혀도 좀 정리가 필요한 부분은 꼭 설명했다.이렇게 주면 당시는 귀찮지만, 복습 할 때 매우 도움이 된다.그날, 안살림을 덮기 전에 날개 부분만 한번 읽으면서 내가 오늘 무엇을 잘못했는지 확인하고 다음날 재무 관리를 열며 어제 뭘 잘못했는지를 확인하면서, 그리고 다음 해독단원에 들어가기 전에 다시 확인하면 내가 반드시 문제를 풀지 않아도 어떤 부분에서 실수할 가능성이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세 법도 재무 회계도 모두 이처럼 공부했으나 재무 관리가 특히 이런 방법이 중요하다고 느낀다.그 이유는 재무 관리는 어느 해석 기준, 법칙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려운 문제는 배운 개념에 기초하고 내가 논리를 이끌어 가야 하는데 그 이끌면서 내가 미진했던 부분과 혼란한 부분을 보완하는 작업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내 뇌 피샤루 논리를 수정하는 과정이므로 단순하게 세 법의 잣대나 회계 기준을 잘못 적용한 것을 고치는 작업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예를 들어 의사 결정 모델로 할인율을 무엇을 써야 하거나 현금 흐름을 어떻게 고려해야 할지 문제마다 다르므로,”ㅐ”과 혼동되지만 댓글에 있는 단서가 있으면 무엇을 이렇게 써야 한다~~식에 적어 놓으면 나중에 문제를 풀지 않아도 내가 적어 놓은 코멘트와 자신의 손으로 풀었던 문제 해결만 봐도 눈을 읽을 수 있다.
물론 하면서 내용이 많으면 그냥 넓은 부분을 다 썼다.
가끔 날개에 쓰지 않았던 적도…근데 날개에 적어놔야 댓글 찾으러 눈 안 와도 되니까 훨씬 편해 은근히 중요해.그리고 이 방법이 정말 강력한 것은 귀찮아도 시험 일주일 전에 2-3일에 전 범위를 회독할 때 눈으로 문제를 뽀뽀하면서 엄청난 속도를 낼 수 있다!! 그렇게 대단한 결과는 아니지만 나름대로 만족하는 원1유는 같은 기간 1. 범위를 넓히는 공부 2. 저렇게 연습서 정리 이 두 가지 방법으로 공을 돌리고 싶다 사실 이 활용법은 내 고유의 것이 아니라 1차 시대에 나도 블로그 돌아다니면서 어떤 분이 이렇게 한다고 해서 와 대박이라고 흉내냈는데 나중에 2차가 됐을 때 얼마든지 블로그를 찾으려다가 그 블로그를 찾으려 했는데,누군지는 모르겠지만 정말 사랑합니다.